전통적으로 팀의 데이터 관리와 협업은 엑셀, 구글 스프레드시트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프로젝트가 복잡해지고, 다양한 팀과 협업이 필요해지면서 단순한 표 기반 도구로는 한계가 있는데요.
여기서 등장한 것이 에어테이블(Airtable)입니다.
에어테이블은 스프레드시트와 데이터베이스(DB)의 장점을 결합하여 누구나 쉽게 데이터 관리, 프로젝트 관리, 협업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1) 스프레드시트 + 데이터베이스
친숙한 스프레드시트 인터페이스 제공 → 초보자도 쉽게 사용 가능
동시에 DB 기능 지원 → 관계형 데이터, 필드 타입, 링크된 레코드 등 활용 가능
2) 다양한 뷰(View) 지원
Grid View: 기존 스프레드시트와 유사
Kanban View: 작업 상태 관리, 애자일 팀 활용
Calendar View: 일정, 프로젝트 마감일 시각화
Gallery View: 이미지 중심 데이터 관리
3) 협업 기능 강화
팀원 초대, 역할 기반 권한 관리
실시간 댓글, 태그, 알림 기능
외부 서비스 연동: Slack, Google Workspace, Zapier 등
항목 | 구글독스(Google Docs/Sheets) | 에어테이블(Airtable) |
---|---|---|
UI 형태 | 문서/스프레드시트 기반 | 스프레드시트 + DB 기반 |
행/열 구조 | 단순 표 형태 | 행/열 + 필드 타입 지정 가능 |
데이터 관계 | 불가 | Linked Records로 테이블 간 관계 설정 가능 |
시각화 | 기본 표 중심 | Grid, Kanban, Calendar, Gallery 등 다양 |
협업 | 실시간 편집, 댓글 | 실시간 편집, 댓글, 태그, 알림, 역할 기반 권한 |
자동화 | 제한적 (앱스 스크립트 필요) | 내장 Automations 기능 제공 |
API 연동 | 제한적(앱스 스크립트 활용) | REST API 제공, Zapier/Make 등 연동 가능 |
Airtable: 관계형 DB 기능 + 협업 중심 GUI + 클라우드 자동화
RDS: 전통적 관계형 DB 제공, SQL 중심, 엔터프라이즈용
MongoDB: 도큐먼트 기반 비관계형 DB, JSON 구조, 비정형 데이터 처리에 최적
개념/용어 | Airtable |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MongoDB (Document DB) |
---|---|---|---|
데이터 단위 | Record (행) | Row (행) | Document (JSON/BSON) |
속성 단위 | Field (열) | Column (열) | Field (키-값) |
테이블 관계 | Linked Record → 다른 테이블과 관계 설정 가능 | Foreign Key → 다른 테이블과 관계 설정 가능 | Embedded Document / Reference → 관계 설정 가능 |
데이터 구조 | GUI 기반 관계형 구조 + 클라우드 저장 | 전통적 테이블 기반 관계형 DB | 도큐먼트 기반 비관계형 DB |
CRUD 접근 | API 또는 GUI | SQL 쿼리 | JSON 기반 CRUD, MongoDB 쿼리 |
자동화/협업 | Automations, 공유, 실시간 편집 | 제한적, DB 관리 중심 | 애플리케이션에서 구현 필요 |
사용자 편의성 | 초보자도 GUI로 사용 가능 | SQL 지식 필요 | 개발자 중심, JSON 구조 이해 필요 |
확장성 | Base/Workspace 단위 클라우드 확장 | 클라우드 제공 서비스에 따라 수평/수직 확장 | 수평 확장 용이, 샤딩 가능 |
주요 사용처 | 팀 협업, 프로젝트 관리, CRM, 콘텐츠 관리 | 트랜잭션 DB, 기업 내부 시스템, 웹/앱 백엔드 | 빅데이터, 로그 관리, 비정형 데이터, NoSQL 애플리케이션 |
1) 프로젝트 관리
마케팅 캠페인, 디자인 프로젝트, 제품 개발 등 복잡한 작업 관리에 활용
Kanban, Calendar View 활용 → 진행 상황 시각화
2)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정보, 거래 내역, 연락 기록 관리
레코드 링크와 필터 기능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3) 콘텐츠 관리
블로그, SNS, 뉴스레터 등 콘텐츠 제작 과정 관리
협업 팀이 실시간으로 편집, 검토, 게시 상태 확인 가능
4) 스타트업 및 소규모 팀 활용
개발자 없이도 데이터 기반 서비스 구축 가능
MVP 제작, 아이디어 검증, 팀 내부 프로세스 자동화
Airtable은 REST API를 제공하며, 인증은 API 키(또는 OAuth)를 사용합니다.
CRUD는 Create, Read, Update, Delete 네 가지 기본 동작입니다.
1. 준비
Airtable 계정 생성 → Base(데이터베이스) 생성
API Key 발급 → Airtable Account
https://airtable.com/{baseId}/api/docs
테이블 구조 확인 → 필드 이름, 타입 확인
2. CRUD 호출 방법
① Create (데이터 추가)
목적: 새로운 레코드 생성
https://api.airtable.com/v0/{baseId}/{tableName}
② Read (데이터 조회)
목적: 레코드 조회
https://api.airtable.com/v0/{baseId}/{tableName}
③ Update (데이터 수정)
목적: 기존 레코드 수정
https://api.airtable.com/v0/{baseId}/{tableName}/{recordId}
④ Delete (데이터 삭제)
목적: 레코드 삭제
https://api.airtable.com/v0/{baseId}/{tableName}/{recordId}
에어테이블은 단순한 스프레드시트를 넘어, 데이터베이스와 협업 플랫폼의 융합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 IT 측면: 클라우드 기반, API/자동화 지원 → 데이터 활용 극대화
- 비즈니스 측면: 프로젝트 관리, CRM, 콘텐츠 관리 등 다양한 활용
- 디자인 측면: 직관적 UX/UI, 맞춤형 대시보드 → 팀 생산성 향상
작지만 강력한 플랫폼으로서, 에어테이블은 팀의 생산성, 데이터 활용, 협업 효율을 혁신하는 핵심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앞으로도 데이터 중심 협업 환경을 구축하는 기업과 팀에게 필수 플랫폼으로 자리할 것이다.
만약 데이터베이스를 고르시고 있으시다면 한번 에어테이블도 도전해보세요.